멤버십 회원만 누릴 수 있는 콘텐츠와 혜택을 무제한으로!

혜택받기
  • 한국금융이해력평가
  • 멤버십
  • 블로그
  • 회사소개
  • 고객센터
미성년자가 돈을 벌면 무슨 일이 생길까?

미성년자가 돈을 벌면 무슨 일이 생길까?

🔍 사건 포착!

  • 중학생 A : 편의점 아르바이트로 한 달 40만 원을 벌었어요.

  • 고등학생 B : 유튜브 채널 운영으로 광고 수익 200만 원을 받았어요.

  • 중학생 C : 안 쓰는 피규어를 중고로 팔아 20만 원을 벌었어요.

미성년자라도 돈을 벌면,

그냥 용돈처럼 쓰면 될까?”🤔

사실은 세금·법률 규칙이

따라온다는 사실!!

*참고로 15세 미만은 원칙적으로 취업이 안돼요. 15세 이상~18세 미만은 부모 동의가 꼭 필요해요.


🌳 미리 체크!

✅ 급여 (Salary/Wage)

일을 하고 받는 정해진 돈.

아르바이트나 직장에서 월급 형태로 받아요. 

✅ 근로소득

아르바이트처럼 고용주에게 일하고 받는 돈.

세금이 일부 빠져요.

✅ 사업소득

유튜브 광고 수익, 온라인 판매처럼

스스로 활동해 버는 돈.

일정 규모 이상이면

사업자 등록과 세금 신고가 필요해요.

✅ 사업자 등록  

내가 물건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해 계속해서 돈을 벌려고 할 때, “사업을 하겠다“라고 국가에 신고하는 절차에요.

미성년자는 부모님의 동의가 있어야 등록 가능.

✅ 종합소득세 신고

근로소득 외에도 유튜브 수익, 과외, 사업소득 등이 있다면, 1년에 한 번 국세청에 내가 번 돈을 모두 합쳐 신고하고 세금을 내는 절차예요.


🔥 실제로 어떤 일이 생길까? 

1️⃣ 아르바이트(중학생 A)

  • 월급에서 세금이 조금 빠져요.

  • 월급은 근로소득이에요.

2️⃣ 유튜브 수익(고등학생 B)

  • 광고 수익은 ‘사업소득‘이에요.

  • 계속 번다면 부모님 동의로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하고,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해요.

3️⃣ 중고거래(중학생 C)

  • 쓰던 물건을 파는 건 보통 세금 대상이 아니에요.

  • 하지만 중고 판매를 ‘사업처럼’ 자주 한다면 사업소득으로 잡힐 수 있어요.

미성년자가 돈을 벌면 세금 신고와 부모님의 동의가 필요해요. 용돈과 달리, 국세청과 금융기관에 기록이 남고 사회적으로 확인 가능한 ‘진짜 소득‘이 되는거랍니다.


💳 리워드·캐시백 받은 것은 소득일까?

이벤트에 참여해서 받은 리워드나 포인트는 일이나 사업을 하거나 투자해서 얻은 수익이 아니라서 국세청에서는 ‘가격 할인‘으로 보고 세금을 받지 않아요.


🍰 퀴즈 타임!

퍼핀 앱에서 바코드로 결제하면 바로 쓸 수 있는 포인트를 받아요.

예를 들어, 바코드 결제를 하고 5천 원을 벌었다면 세금을 내야 할까요?

① 네, 세금을 꼭 내야 해요.

② 아니요, 세금 대상이 아니에요.

③ 부모님이 대신 내줘야 해요.

.

.

.

정답은?

👉 ② 아니요, 세금 대상이 아니에요.


여러분 👋 GS25에서

그냥 카드로 5천원을 쓰면 혜택이 없어요.

하지만! 퍼핀 바코드로 결제하면?

5천원의 1%인 50원을 벌어요!

4950원만 결제하는 것과 같죠.

이건 새로운 소득이 아니라

‘할인 효과’라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돼요^^

바코드 결제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