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버십 회원만 누릴 수 있는 콘텐츠와 혜택을 무제한으로!
혜택받기요즘 현금을 쓰는 사람이 점점 줄고 있어요.
작년 기준 현금 사용 비율은 15.9%에 불과했고, 신용카드(46.2%)나 휴대전화 간편결제가 크게 늘었죠.
👉 하지만 나이가 많은 세대는 여전히 현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 디지털 화폐
전자적으로 저장돼 거래할 수 있는 화폐.
지폐나 동전 없이 결제가 가능해요.
✅ 가상화폐
실물은 없고, 네트워크 안에서
전자적 형태로 쓰이는 화폐.
✅ 스테이블코인
달러나 금 같은 자산에 가치가 연동돼
가격이 비교적 안정적인 가상화폐.
✅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나이, 소득, 지역 등에 따라
디지털 활용 능력에 차이가 생기는 현상.
✅ ATM
자동 현금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의 줄임말.
10~20대: 체크카드
30~50대: 신용카드
60대 이상: 현금을 더 선호해요.
👉 정부의 신용카드 장려 정책 덕분에 카드 결제가 빠르게 늘었고, ATM 도 2020년 8,773대에서 2023년 8,097대로 줄었어요.
한국은행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를 실험 중이에요. 스테이블코인 같은 새로운 가상화폐 시장도 커지고 있고요.
하지만 전기나 통신이 끊기면 디지털 화폐는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현금을 완전히 없앨 계획은 없다고 밝혔어요.
젊은 세대는 휴대전화 결제에 익숙하지만, 어르신 세대는 어려워해요. 이는 단순히 결제 방식의 차이가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다루는 능력의 차이 때문이죠.
이 차이는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기를 나눠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교육과 제도적 지원이 꼭 필요해요.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같은 디지털 기술을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생기는 차이를 뭐라고 할까요?
디지털 격차
가상화폐
스테이블코인
.
.
.
정답은?
이 기사는 「하루 한 장 초등 경제 신문 2」 책에 실린 기사 중 하나예요. 매일 경제 기사를 쉽고 재미있게 읽으면서, 어린이도 경제 용어를 차근차근 배울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