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버십 회원만 누릴 수 있는 콘텐츠와 혜택을 무제한으로!
혜택받기우리 아이는 아직 산타를 믿고 있나요?
해마다 12월이 시작되면 번화가와 대형 쇼핑몰에서 커다란 트리를 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거실에 크리스마스 트리를 준비해 놓은 가정도 있죠.
우리 아이가 산타 할아버지가 있다고 믿고 있다면, 엄마 아빠는 슬슬 아이가 뭘 갖고 싶어하는지 눈여겨보시겠죠?
반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친구들 또는 형님들을 통해 산타의 존재가 부모님이란 사실을 알게 된 아이라면, 부모님께 당당하게 갖고 싶은 것이나 용돈을 요구할 수도 있겠네요. 우리 집 아이는 어떤가요?
크리스마스 지출 주의보
크리스마스를 맞아 가족을 위한 선물도 사고, 외식도 하고, 케이크에 트리...
송년회에 연말 모임까지 챙겨야 하는 12월은 지출이 크게 늘어나는 달입니다.
미국 사람들은 연간 수입의 약 1%를 크리스마스와 같은 명절 선물에 사용합니다. 명절 선물 비용을 미리 마련해두기 위한 목적으로 저축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런데 모든 사람들이 계획적으로 명절을 즐기는 건 아닌가 봅니다. 지난 2021년에는 소비자 3분의 1 이상(36%)이 선물, 여행에 돈을 쓰느라 부채를 얻었다고 하는데요. 평균 1,249달러 (당시 환율로 약 150만원)의 부채를 얻었다고 하니 적은 돈은 아닌 것 같아요.
우리도 크리스마스 같은 1년에 한 번 뿐인 특별한 연휴를 즐기다보면 예산을 초과해버리는 경우가 있어요.
올 연말에는 아이와 함께 크리스마스 예산을 세우고, 더 특별한 연휴를 보내면 어떨까요?
아이에게 예산을 어떻게 가르쳐줘야 할까요?
아이들과의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는 아니다 보니, 아이에게 예산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야 할 지 막막하실 수도 있어요.
예산은 한정된 돈을 가장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라고 알려주세요.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고 있는 아이라면, 돈을 직접 관리해 본 경험 덕분에 예산에 대해 빠르게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을 거에요.
예산(Budget) : 수입과 지출에 대한 계획
쉽게 말하면 어디에 얼마의 돈을 쓸 지 미리 계획하는 것, 그렇게 계획된 돈을 예산이라고 해요.
예) 예산을 짜다, 이번 달 예산을 다 써버렸다, 예산을 아껴 써야한다
직접 돈 관리를 해보지 않은 아이라면 예산의 중요성을 잘 모르고 있을 겁니다. "왜" 예산을 세우고 실천해야 하는지도 알려주세요.
"OO이의 한 달 용돈, 엄마아빠의 한 달 월급 처럼, 보통 매달 들어오는 돈은 정해져 있단다."
"그런데 계획 없이 돈을 쓰면, 나중에 정말 필요할 때 쓸 돈이 없어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지."
"교통비, 간식비, 외식비, 선물 등 돈을 써야하는 항목을 나눠서 쓸 돈을 정해두면 과소비를 막을 수 있어."
아이와 함께 크리스마스 예산 세우기
다가올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보낼지 계획하셨나요?
아이가 가족이나 친구에게 직접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고 싶어한다면, 용돈 안에서 예산을 세워보세요.
예산은 얼마로 책정해야 할까요? 단계별로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STEP ① 연간 수입의 1% 이내로 예산 짜기
수입의 1%면 너무 넉넉한 거 아닌가?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어요.
하지만 가족 외식과 선물 비용 등을 전부 따져보면 의외로 1%에 가깝거나, 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1%라는 숫자는 가정 상황에 따라 조정하셔도 좋아요. 하지만 신용카드 할부를 과도하게 쓰거나, 저축한 돈을 쓰는 방법은 지양해주세요.
예) 초등학교 5학년 아이의 한 달 용돈 5만원
→ 1년 용돈 60만원 * 1% = 크리스마스 선물 예산 6,000원
STEP ② 선물 목록 정리하기
목록을 미리 정하면 과소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가족, 친구, 동료, 이웃, 기부... 누구에게 어떤 선물을 할지 꼼꼼하게 목록을 만들어 보세요.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라면 목록을 줄여야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 용돈이 부족하다면, 스스로 아이디어를 내서 선물을 만들 수 있도록 응원해주세요.
예) 초등학교 5학년 아이가 쓴 크리스마스 선물 목록
엄마 / 손수건
아빠 / 어깨 안마 10회권
누나 / 스티커
친구1 / 크리스마스 카드
친구2 / 크리스마스 카드...
STEP ③ 선물 가격 조사하기
완성한 목록을 들고 바로 쇼핑하러 가지 마세요.
사전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가격을 최대한 정확하게 조사해서 예산에 맞추면 좋습니다.
비슷한 물건을 파는 곳이 많다면? 아이에게 가격 비교하는 법과 물건 고르는 법을 알려주세요.
✅ 예산에 맞는 가격인지?
✅ 가격에 비해 품질이 괜찮은지?
✅ 다른 판매처보다 저렴하게 파는지?
✅ 구매후기가 있는지?
예) 초등학교 5학년 아이의 선물 가격 조사
엄마 / 손수건 / 3,000원
아빠 / 어깨 안마 10회권 / 0원
누나 / 스티커 / 2,000원
친구1 / 크리스마스 카드 / 500원
친구2 / 크리스마스 카드 / 500원
= 총합: 6,000원
STEP ④ 최종 검토하기
선물을 샀다고 끝!이 아니에요.
예산을 짠대로 돈을 썼는지 확인하는 것까지 마무리해야 제대로된 용돈교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남은 돈이 얼마인지, 원래 쓰려던 돈보다 많이 쓰지는 않았는지, 후회되는 선택이나 잘 한 선택은 무엇인지... 아이와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이 때, 혹시 예산보다 더 많이 썼다고 하더라도 아이를 추궁하지 말고, 아이로 하여금 엄마 아빠와 돈을 주제로 대화한다는 인상을 남겨주는 게 중요합니다. 잘했는지 잘못했는지 아이도 직접 겪은 경험을 통해 스스로 느끼고 있을 거에요.
-
스스로 용돈을 모으고, 예산을 세워 지출하는 경험은 아주 중요합니다.
아직 아이가 돈에 대해 잘 몰라서, 용돈을 주면 펑펑 써버릴까 걱정돼서...
많은 엄마와 아빠가 여러 걱정으로 아이에게 용돈을 주고 용돈교육을 시작하는 것을 미루고 있습니다. 계속 미루다가는 돈을 다룰줄 모르는 아이가 되어버릴 수 있어요. 정기적인 용돈을 주고, 아이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 지금 바로 우리 가족에게 필요한 것입니다.
-
용돈은 퍼핀으로 주세요 | 엄마가 만들어주는 초등용돈카드